본문 바로가기

이슈 리포트

치매정책 진단 6 - "채용공고 중" 치매안심센터

2017년 9월 18일 중앙정부는 치매 국가책임제 추진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치매 환자와 그 가족들의 고통을 경감시키고자 기존 제도의 미비점을 보완하고, 치매 조기진단·예방·상담·사례관리와 더불어 의료지원까지 치매지원체계를 구축하여 치매 안심사회를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힌 것입니다.

 

이 계획의 일부로서 전국 252개 보건소에 치매안심센터가 설치되었고, 보건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마다 간호사, 임상심리사, 물리치료사 등 18~35명의 인력을 두어야 한다는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그런데 치매 국가책임제를 전국적으로 시행하다보니 필요한 인력의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태입니다. 인력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실정이죠. 따라서 치매관련 전문인력 양성이 매우 시급한 문제입니다.

 

 

Photo by  Ruthson Zimmerman  on  Unsplash

 

정규직화, 도움이 될까?

 

전문인력 수급이 힘든 부차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필요로 하는 인력 대부분이 계약직 신분으로 일하고 있어 고용불안이 초래된다는 점이죠. 이러한 사정을 잘 아는 업계의 전문가는 이들을 정규직화 해야한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합니다.

정말 정규직화가 도움이 될까요? 또, 가능할까요?

 

물론, 전문인력이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도록 정규직화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당장 가능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우선 각 지자체에서 고용하는 직군마다 정규직 정원이 정해져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경우, 다른 직군의 정규직 인원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이유가 있습니다.

또 한편으로, 이들에게 일괄적으로 정규직 처우를 할 경우, 초기 몇 년 간은 계약직일 때보다 오히려 급여가 적어지게 되는 연봉체계 탓도 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 필요인력 중 특히 부족한 부분은 임상심리사입니다. 임상심리사의 지원이 적은 이유 중 하나도 급여입니다. 임상심리사를 원하는 다른 수요처보다 급여가 적어 경제적으로 이득이 되지 못하는 것이죠. 때문에 현재 치매안심센터에서 근무 중인 임상심리사에 대해 다른 직원들 역시 소명의식이 투철하다는 평을 하곤 합니다.

 

Photo by  Majharul Islam  on  Unsplash

 

치매안심센터 설치가 전부가 아니다!

 

치매안심센터가 안정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당연히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합니다. 인력양성을 어떻게 할지, 대도시와 지방도시 또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필요인력 충원 차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인력에 대한 처우는 어떻게 개선할지의 문제가 계속 남아있습니다.

 

치매안심센터 인력난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어, 필요인력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법령 개정, 예산확보를 통한 고용불안 해소 등이 큰 유인책이 될 것입니다. 

 

국가 주도의 치매정책을 통해 치매안심센터가 전국에 구축되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보건복지분야 정책의 성과로서 큰 획이 아닐 수 없는데요,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지역사회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앞으로의 진행을 눈여겨 보기로 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