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 보고서

2022년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조성사업 성과 조사 분석

 

연구배경 및 목적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지속가능한 국내 최고의 AI 기술 실증 테스트베드 구축과, 국민 체감도와 산업 파급 효과가 큰 분야에 우선 실증과 사업화를 지원하고 다양한 AI 혁신 사례 창출 등을 목적으로 하는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조성사업을 추진 중임

 

  AI 테스트베드 사업을 수행하며 지원한 실증 과제 및 AI 기업에게 제공한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성과를 체계적으로 파악·검증하고 이를 근거한 실증사업의 투자효율성 등 조사·분석하여 향후 사업계획 수립 등을 위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조성사업 수행 과제별 현황과 재원 투입에 따른 효과, 성과조사·분석 및 우수사례 도출 등을 통해 사업 성과를 확산시키고, 향후 사업 개선/발전 방향을 모색

 

  계측 가능한 정량성과 외에도 다양한 정성 데이터를 확보 및 표준화하여 검증함으로써 폭넓은 사업 추진성과의 수집과 자료의 신빙성 확보

 

본 사업과 국내 유사 실증 지원사업과의 비교분석(사례분석)을 통한 본 사업 추진 정책의 타당성 검토

 

 

ㅇ 연구기간 : 2022년11월11일 ~ 2022년12월16일

 

ㅇ 참여인력

  - 연구책임자 : 이진수

  - 공동연구원 : 김현태, 정현수, 이진규, 정진성

  - 연구보조원 : 이원준

  - 보조원 : 박리나

 

ㅇ 분량 : 143p

 

< 목 차 >

 

I. 서론 1

1. 조사 배경 및 목적 1

 1) 조사 배경 1

 2) 조사의 세부내용 2

2. 조사분석의 한계 3

 

II. 사업 개요 5

1. 사업배경 및 목적 5

2.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조성사업 개요 6

 1) 사업계획서 주요내용 6

 2) 사업개요 9

3. 실증 서비스 대상 내용 11

 1) 도로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12

 2) AI 기반 정밀 교통 혼잡도 예측 서비스 13

 3) AI 기반 자동차 사고 탐지 서비스 14

 4) AI 기반 실내 위치 측정 서비스 21

 5) 산업시설 화재 감시 서비스 23

4. 사업 세부내용 24

 1) 2021년 인공지능(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연계 실증 지원사업 24

 2) 2022년 인공지능(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연계 실증 지원사업(2차 년도) 25

 3) 2022년 인프라 공동 구축형 실증 지원사업 26

 4) 2022년 연계 기회제공형 실증 지원사업 27

 5) 지원사업 종합 28

5. 과제 지원현황 31

 

III. 성과 조사 분석 35

1. 조사 개요 35

 1) 조사대상 및 방법 35

2. 성과지표의 정의 및 해설 37

 1) 기술적 성과 37

 2) 공공적 성과 37

 3) 경제적 성과 38

 4) 사회적 성과 39

3. 주요 성과분석 결과 40

 1) 기술적 성과 40

 2) 공공적 성과 48

 3) 경제적 성과 64

 4) 사회적 성과 70

4. 생산성 분석 75

 1) 사업지원금 투입 성과 75

5. 시사점 79

 

IV. 우수사례 및 유사 사업 비교 시사점 83

1. 우수 사례 83

 1) AI 기반 지역민을 위한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실증 83

 2) 컴퓨터 비전 AI 기반 매장 무인화 테스트베드 구축 및 실증 85

 3) AIoT 실시간 추적 자율주행 로봇 배달 서비스 ViBot 실증 88

 4) AI 스마트 안전운전평가 시스템 실증 90

2. 유사 실증지원 사업 사례 분석 및 시사점 94

 1) 국내 유사 실증지원 사업 사례 94

 2) 시사점 101

 

V. AI 기술실증 테스트베드 조성사업 만족도 조사 105

1. 조사 개요 105

2. 조사 결과 106

 1) 서비스 만족도 107

 2) 사회적 책임 만족도 109

 3) 서비스 비교 평가 110

 4) 전반적 만족 111

 5) 사업 기획 단계 112

 6) 사업 추진 단계 113

 7) 사업 관리 단계 115

 

VI. 결론 117

1. 조사의 한계 및 요약 117

2. 성과지표 개선안 120

 1) 기존 성과지표 자체 검토 120

 2) 신규 성과지표 도입안 126